정치/자치 > 정치/자치
안도걸 “코로나때 국채 증가, 선진국 절반이하”
자서전서 “가성비높은 재정운영…모범적인 사례 평가”
‘고성장 회복-세수 증가-부채 감소’ 경제 선순환 달성
 
강창우 기자 기사입력  2023/11/20 [15:44] ⓒ IBN일등방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안도걸(전 기획재정부 차관)   

【iBN일등방송=강창우 기자】코로나19 당시 우리나라의 예산을 총괄했던 안도걸 전 차관은 최근 출간한 자서전 안도걸의 삶과 도전에서 세계 각국은 방역과 경제위기 극복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기 위해 앞다퉈 국채 발행을 늘렸다대한민국의 국채 증가폭은 선진국의 절반이하 수준으로 절제된 재정지출을 통해 국난을 극복한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전 차관은 또 문재인 정부때 코로나 극복을 위해 발행한 국채의 2019~2021년 증가폭은 GDP 대비 7.6%p인 반면 선진국 평균치는 16%p였다이를 통해 조달한 자금과 예산 등 모두 210조원에 달하는 재원이 백신 무료접종 등 방역비용, 전국민 재난지원금, 소상공인 피해보전과 손실보상, 고용 유지, 정책금융 지원 등 국난극복을 위한 긴급한 분야에 투입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전 정부때 국가 부채가 급증했다고 비판받고 있지만 지원이 시급한 분야에 재정 지출을 적극적으로 늘린 결과 2021년에는 4.1%의 고성장을 달성했다고용도 위기전 수준으로 빠르게 회복한 것은 물론 계층간 소득분배도 위기전보다 개선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와 함께 경제의 선순환구조를 만들었다는 점도 적극재정의 성과로 지적했다. 20214.1%의 고성장을 기록하면서 세수기반이 자연스레 넓어졌고, 이로 인해 613,000억원의 초과세수가 발생해 국채 발행을 줄이는 선순환이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정부는 경제성장의 보너스인 초과세수를 활용해 두번째 국민재난지원금을 지급하고, 소상공인손실보상제도를 세계 최초로 도입해 방역규제로 영업피해를 입은 소상공인들에 대한 공정한 손실보상을 실시할 수 있었다.

 

그는 “4.1%의 고성장으로 613,000억원의 초과세수를 기록한 지난 2021년과 올해의 경우는 수치로 너무나 대비가 된다올해의 경우 경기 불황에 소극적 재정운영이 가세하면서 1.4%의 역대급 저성장과 이에 따른 60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세수결손이 예상되고 있다고 말했다.

 

안도걸 전 차관은 이 두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건전재정을 달성하는 관건은 경제 성장이라며 특히 경기 불황기에 재정수지 개선을 위한 재정지출을 축소할 경우 경기 침체와 이에 따른 세수 악화라는 악순환을 일으킬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공감 카카오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IBN일등방송
 
22대총선 관련기사목록

"함평전통시장에서 농수산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주간베스트 TOP10
광고